산 이야기 545

봄눈(春雪)내린 남한산성 둘레길을 걷다.

2025. 3. 18남한산성을 갑니다.산행을 막 시작하던 무렵에 두어번 간 적이 있었던 이후로, 오랜만에 가 보는 남한산성입니다.오늘은 위 지도에서 보듯이 산성로터리에서 출발한 후 북문을 거쳐, 벌봉과 봉암성을 지나 동문과 남문을 들린 다음 북문으로 돌아올 계획입니다. 꼭 계획대로 되는 건 아니지만, 아무튼 그렇게 11km를 5시간에 걸쳐서 걸을려고 합니다.09시 35분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58-1, 남한산성 행궁 앞 회전로터리 앞에서 하차 후 행궁으로 가 봅니다.여기는 눈이 아주 많이 내렸어요.3월 중순인 지금에 아직도 깊은 겨울인 양, 흰 눈이 수북이 내려쌓였습니다.행궁은 왕이 늘 거처하는 궁궐을 떠나서 임시로 거처하는 별궁(別宮)입니다.즉, 임금이 서울의 궁궐을 떠나 도성 밖으로 행차하..

산 이야기 2025.03.26

눈과 선자령

2025. 3. 11지난 3일부터 5일까지 3일 동안은 때 아닌 눈이 내렸습니다.겨울로 접어들면서 유독 영동지방에만 눈도 오지않고, 비도 오지않는 겨울가뭄이 계속되었기에 이 눈은 가뭄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단 눈(雪)이었는데요, 그렇다 해도 봄이 오고 있는 이 3월에 눈이 내리다니요!눈이 오자 눈꽃과 설경을 보려고 너도 나도 선자령을 찾았습니다. 그 넓은 주차장이 빈틈이 없을 정도로 몰려들었었죠.눈 오고 엿새가 지난 후에 찾아간 선자령에는, 여전히 많은 눈이 쌓여있어 어쩌면 이 겨울의 마지막일지도 모를 눈 산행을 했습니다.08시 40분(구)대관령 상행휴게소에 도착했을 때는 이른 시간이라서, 그런지 차량들이 별로 없습니다.이미 다녀갈 사람들은 다 왔다 갔기에 그럴 수 도 있습니다.오늘 산행코스도 언제나 그랬..

산 이야기 2025.03.12

눈 내린 겨울 풍경 - 평창 계방산

20258. 2. 252월의 마지막주 산행은 계방산입니다.강원도 평창에 위치한 계방산은 겨울철 설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山들 중 하나이기에 겨울이 오면 찾는 산입니다.09시 10분운두령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평창군 용평면과 홍천군 내면 경계에 있는 '운두령'은 해발 1,086m로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로 갈 수 있는 고개 중 제일 높은 고개이죠.고개가 너무 너무 높아서 구름도 넘는 걸 망설이다가 넘어가는 고개. 하늘은 잔뜩 흐리고, 눈발이 날립니다. 추운 날씨에 바람까지 불어서 경황이 하나도 없습니다. 계방산은 올 때 마다 포근했었기에 의례히 오늘도 따뜻하리라 기대하고 왔건만, 이리 추우면 안되는 거 아닙니까?옷도 두꺼운거 입지않고 왔는데 무척 당황스럽네요.모자를 푹 눌러쓰고 귀마개도 하고 워머를 하고, 그렇..

산 이야기 2025.02.26

원주 치악산의 남대봉, 향로봉 눈(雪) 산행

2015. 2. 11참 오랜만에 가 보는 남대봉입니다.치악산 남대봉은 10여년전에 두어번 간 적이 있는데, 남대봉 가는 길목의 그림같은 상원사는 어제 본 것 마냥 생생한 모습으로 남아있었죠.09시 50분 오늘의 산행 시작은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해발 400m의 성남탐방지원센터.남대봉으로 가는 마을길 양편에는 눈이 남아있습니다.영동지방은 계속되는 겨울가뭄으로 비가 오기만을 간절히 바라고 있지만, 영서지방을 비롯한 중부, 남부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그러면서 날씨도 엄청 추웠구요.'소한'에 진눈깨비가 약간 날린 후 '대한'에는 봄이 온 듯 따뜻했었죠. 그러다가 입춘이 지나면서 때 아닌 강추위가 시작되었습니다.제일 추운 철원지방의 아침기온이 영하 22도나 되고, 체감온도는 영하 30도 정도 되었으니 얼..

산 이야기 2025.02.17

1월, 태백산 눈길을...

2025. 1. 21해(年)가 바뀌고 1월이 되면 찾는 산, 오늘은 태백산입니다.09시 50분태백시 현동 산 59(태백산로 4162)의 '화방재'에 도착했습니다.'화방재'는 봄이면 고갯마루 주변이 진달래와 철쭉으로 붉게 타올라 꽃방석같다고 '화방재(花房嶺)'라 하는데, 일제 강점기에 방화선(防火線)을 설치하면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고 말하는 고개이기도 하죠.화방재의 다른 이름은 어평재.서쪽 기슭에 어평이라는 마을이 있어 '어평재'라 하는데, 태백산 산신이 된 단종의 혼령이 '이제부터 내 땅(御坪)이다'라고 해서 어평리라 하고, 그 고개를 '어평재'라 했답니다.산행 들머리는 파란색의 주유소표지판 뒷쪽에 있습니다.천제단까지는 4.8km. 그리 먼 거리도 아니라서 오늘도 부쇠봉과 문수봉을 거쳐서 당골로 내려갑니..

산 이야기 2025.01.26

화마(火魔)가 휩쓸고 간 자욱이 남아있는 ..... 울진 '응봉산'

2025. 1. 7올해의 새해 첫 산행은 언제나 그랬듯이 응봉산입니다.산행을 하고난 뒤 온천욕을 하므로써, 지난해의 묵은 때를 말끔히 씻어내고 새로운 마음으로 한 해를 시작하려는 마음에서 연례행사처럼 찾아 옵니다.09시 40분덕구온천 뒤의 산불감시초소앞에서 첫 발걸음을 뗍니다.들머리는 처음부터 계단이구요.계단을 올라오면 모랫재까지 산책로같은 길을 걷죠.그리곤 이내 눈에 띄는 그을린 소나무들2022년 3월 4일 오전 11시 14분경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산불은, 건조한 날씨에 강풍을 타고 걷잡을 수 없이 빠른 속도로 삼척 원덕읍으로 번졌습니다.산불 발화(發火)는 두천리 지역을 지나던 2대의 승용차 중 1댁가 버린 담배불로 추정하지만, cctv에는 차량번호가 선명하지 못해서 범인을 잡을 수..

산 이야기 2025.01.09

눈길을 걷다 - 오대산 비로봉

2024. 12. 31금년도 마지막날의 송년 산행은 평창 오대산입니다.09시 20분오대산 상원사주차장.상원사로 가는 도로는 말끔히 정비를 했습니다.포장도로처럼 깔끔해서 걷기에 아주 좋군요.관대걸이를 지나고줄지어 서 있는 전나무숲길을 걸으며상원사 입구까지 왔습니다.상원사는 일단은 비로봉까지 갔다가, 하산길에 들려보기로 합니다.커다란 돌맹이를 납작 납작하게 깎아서 길에 깔았다고 하지만 지난 4월 초파일에 왔을때만 해도, 울퉁불퉁해서 걸을 때 마다 신경이 무척 쓰였던 길이 지금은 붉은색이 도는 재질로 포장을 해서 편안한 길을 만들었습니다.10여분 걸었는데 벌써 덥군요.약간 쌀쌀한 날씨지만 웃도리를 벗어 배낭에 넣고 갑니다.길옆의 화장실은 동파방지를 위해 문을 닫았습니다.화장실은 중대사자암에 가면 1층에 있습니..

산 이야기 2025.01.01

이 겨울, 흘림골 눈길을 걷다.

2024. 12. 24흘림골로 갑니다.숲이 짙고, 날씨가 늘 흐리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남설악 흘림골.폭포와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룬 골짜기로, 남설악 최고의 단풍명소로 손꼽히는 그곳 '흘림골로 갑니다.한계령 고갯길을 굽이 굽이 돌아가는 버스 창밖으로, 설악산 특유의 암봉이 불쑥 불쑥 나타납니다.09시 25분흘림골 탐방지원센터앞에서 하차했습니다. 양양군 서면 오색리 산 1-71에 위치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는, 오색탐방지원센터에서 한계령휴게소 가는 길목에 있습니다. 지금처럼 탐방객이 별로 없는 계절에는 현장 접수 후 들어갈 수 있긴 합니다만,흘림골 탐방은 '국립공원예약시스템'에서 인터넷 사전예약을 해야 합니다.한사람이 10명을 예약할 수 있죠.탐방지원센터에서 출발하기 전, 눈이 내린 탐방로를 보면 아무래도..

산 이야기 2024.12.26

횡성 <어답산>, 이런 山이 또 있을까? 놀라운 산이 거기 있었네.

2024. 12. 17어답산은 하도 많이 들어서 서너번은 다녀온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 이름만 알고 있었을 뿐, 한번도 가보지 못한 산이었네요.횡성 어답산. 그 산을 오늘 갑니다.9시 45분횡성군 갑천면 삼거리 95-6,  '횡성온천' 앞 큰길에서 하차를 하고 온천방향으로 걸어갑니다. 어답산 기슭에 있는 횡성온천은 횡성의 유일한 온천으로서, 약알카리성인데다 중탄산과 물의 깨끗함을 나타내는 유리탄산 성분이 월등히 높아 피로회복, 만성피부병, 고혈압, 심장병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서 인기있는 온천이었답니다. 대부분의 온천이 휴양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횡성온천은 쌓인 피로를 푸는 건 물론 인근의 어답산과 병지방계곡, 횡성댐등의 관광명소를 둘러볼 수 있는 여행지로서도 많은 관심을 받..

산 이야기 2024.12.19

설악산 '토왕성폭포'를 가다.

2024. 12. 10오늘은 토왕성폭포를 갑니다.정확하게 말하자면 '토왕성폭포 전망대'를 가 보는 거죠.09시 05분. 설악산 소공원입구 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한 때는 '문화재 관람료' 입장권을 사야만 들어갈 수 있었던 '매표소'를 지나면 소공원.소공원에 들어서면서 맨 왼쪽길로 접어듭니다.이정표에는 '비룡폭포', '토왕성폭포 전망대' 표시가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구요, 혹 이정표를 보지 못하더라도 무조건 왼쪽 길을 따라가면 됩니다.국립공원 설악산에서 겨울에 산행할 수 있는 곳은 4군데뿐입니다.먼저 설악산의 상징인 울산바위로 가는 길이 있는데요, 소공원에서 울산바위까지 거리는 대략 8km이며 왕복 3시간이 소요됩니다.두번째는 비선대, 금강굴로 갈 수 있습니다. 왕복 9.5km 거리를 3시간에 다녀올 수 ..

산 이야기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