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악산 [冠岳山] 629m
관악산은 서울의 조산이다.
내룡(來龍)은 백두대간에서 이어진 태백산,소백산,새재,희양산을 거쳐 속리산이 중조(中祖)가 되어 한남 금북정맥을 이루고, 북으로 치달아 칠현산·광교산·청계산을 이어 관악,금지산,남태령에서 한강을 경계선으로 강남의 서쪽 벌판에 우뚝 솟아 강북의 삼각산과 마주하고 있다.
관악산은 청계산·삼성산과 함께 옛 금천의 진산(鎭山)인 금지산경(衿芝山經)을 이루는데, 이 산경의
최고봉이기도 하다.
산봉우리의 모양이 불과 같아 풍수적으로 화산이 된다.
빼어난 수십개의 봉우리와 바위들이 많고 오래된 나무와 온갖 풀이 바위와 어우러져 철따라 변하는 모습이 마치 금강산과 같다하여 소금강 또는 서쪽에 있는 금강산이라 하여 서금강이라고 한다.
검붉은 바위로 이루어진 관악산은 그 꼭대기가 마치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모습으로 보여서 갓
모습의 산이란 뜻의‘갓뫼(간뫼)' 또는‘관악(冠岳)’이라고 했다.
관악산은 옛 지도에는‘관악’으로 많이 나온다.
악(岳) 자체가 산(山)을 뜻하기 때문에 옛날에는 그 뒤에 다시 山자를 덧붙이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이렇듯 관악의 산이름은 그 형상이 마치 관처럼 생겼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처음의 산이름은 주위 산세에서 으뜸간다는 뜻이라고 한다
○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9위
수려한 경관에 다양한 산행기점과 코스로 서울,과천,안양시민들의 휴식처로 사계절 인기가 있다.
또한 입장료가 폐지되고 부담이 없어 주말이면 많은 인파가 몰린다.
○ 산림청 100대 명산 선정사유
예로부터 경기 5악의 하나로서 경관이 수려하며, 도심지 가까이 위치한 도시자연공원 (1968년 지정)으로 수도권 주민들의 휴식처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주봉은 연주대(戀主臺)로서 정상에 기상레이더 시설이 있다.
신라시대 의상이 창건하고 조선 태조가 중수(1392년)한 연주암과 약사여래입상이 유명하다.
'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운사 꽃무릇길을 걷다 (0) | 2019.10.05 |
---|---|
관악산 산행 2 - 연주대에서 사당능선을 거쳐 낙성대공원까지 (0) | 2019.09.19 |
태백산 산행- 황금정(김진선) 산대장을 추모하다. (0) | 2019.09.11 |
대둔산 - 가을비 내리는 날의 산행 (0) | 2019.09.06 |
수락산 암벽에 올라 가을을 맞다. (0) | 2019.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