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행사

강원 규방공예展

adam53 2018. 2. 8. 12:06


강릉시립미술관에는 강원 규방공예열리고 있습니다.

1전시실에는 조각보 작품, 2전시실에는 繡보자기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데요.

작품 하나를 수개월 걸려서 만든다고 해요. 그만큼 많은 정성과 공을 들여서 완성한다는 것이죠.

매미 날개같이 하늘하늘 하고 金絲가 반짝반짝 빛나는 작품들이 직접 보는 것같이 생생하지는 못하겠지만, 똑딱이로 찍어보았습니다.






















































































































규방공예는 조선시대, 엄격한 유교사회에서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었던 양반집 규수들의 생활 공간이었던 규방에서 생성된 공예장르

이다.

규방에 모인 여인들이 바느질을 통해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들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천연의 색으로 물들인 원단을 사용하여 한복과 이불을 만들고, 남은 조각들로는 보자기,주머니, 바늘집 등의 소품을 제작하였다. 보자기의 한 종류인 조각보는 규방공예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높이 평가되는데, 조각천을 활용하여 기하학적이고 창의적인 패턴의 멋스러운 디자인을 생활 속에 활용하고 예물용이나 장식용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삼베(마직물), 모시(마직물),옥사(실크)등을 활용한 발(햇빛 혹은 창가리개)의 경우 실용성과 더불어 은은한 운치와 낭만을 표현하고 있다.

규방공예 소품으로는 바늘방석,가위집,인두집,인두판,자집,수저보,골무,다과보,다기보,두루주머니,귀주머니,약낭,향낭,강릉주머니,별낭,바늘쌈지노리개,베갯모등이 있으며 혼례용으로 사주보,연길보,혼서지보,기러기보등이 있고 쓰개(머리에 쓰는 것)로는 남자용으로 복건,호건 여자용으로 조바위,남바위,굴레,아얌,댕기등이 있다.또 의복류로는 남녀한복을 포함하여 배자(민배자, 누비배자, 털배자), 버선, 타래버선, 아이돌복, 전복, 토씨, 배냇저고리등 다양한 종류들이 있다.

조각보의 종류로는 바둑무늬조각보,사선조각보,불규칙조각보,홑보,겹보,자수보등이 있고 무명,비단(주,사,단,라등)의 종류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고 있다. 최근 현대적인 규방공예 작품의 흐름은 전통적인 소재를 활용한 재현 작품 만들기와 더불어 규방공예 기업을 활용한 식탁의 러너, 핸드폰걸이, 브로치, 가방/핸드백 걸이장식, 책갈피, 명함지갑, 핸드백, 주머니를 활용한 다양한 주머니등 발전적인 디자인과 실용적인 작품들을 만들고 있다. (자료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