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384년(백제 침류왕 원년) 마라난타 존자가 불경 등을 가지고 중국 동진에서 건너 와 백제땅에 첫발을 내디딘 곳.
영광 법성포는 마라난타 존자가 중국 동진에서 해로를 통해 백제에 입국할 때 최초로 도착하여 불교를 전파하였던 곳입니다.
법성포는 백제시대에 아무포(阿無浦)라 했는데 '아미타불'을 함축한 명칭입니다.
그 후 성인이 불법을 들여온 성스러운 포구라고 하여 법성포(法聖浦)라 불리게 되었는데, 법성포는 불연(佛緣)이 깊은 고장이며 한국의 불교문화사적과 정신문명사적으로 매우 유서깊은 곳이기도 합니다.
영광군에서는 법성포에 문화적 역사성을 구체화하여, 후세에 길이 남겨질 수 있도록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라는 명소를 조성하였습니다.
마라난타 존자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기록되어 있듯이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 동진에 이르렀으며, 384년 백제에 왔으며, 마라난타 존자의 불교전래로 인하여 백제에 불교가 빠르게 전파되었고 웅혼하고 찬란한 백제불교문화의 서막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석 마라난타는 인도출신의 승려로써, 신통한 힘을 갖고 있어 온갖 일을 해내는데 그 능력을 헤아릴 수 없었다.
스님은 불교를 전파하는 데 뜻을 두어, 여기저기 떠돌아 다니면서 교화하였다"라는 해동고승전의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상징문은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의 일주문 역할을 하는 기념물로서, 간다라양식의 건축 개념을 도입하여 건립된 불교도래지의 상징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입구에 세워져 있습니다.
간다라유물관은 대승불교문화의 본 고장인 간다라의 2C~5C경의 불전도 부조 및 불상 등 진품유물을 전시하여, 간다라 불교 문화예술의 특징적 요소를 직접 관람하고 느낄 수 있으며 건축양식도 간다라건축 요소를 담아 냈습니다.
마라난타 尊者像 입니다.
이제 유물관안으로 들어가 볼꺼에요.
이제는 바깥을 둘러보겠습니다.
탑원(塔園)은 간다라지역 사원 유구(遺構) 가운데 가장 잘 남아있는 탁트히바히사원의 주 탑원을 본떠 조성한 탑원이며, 마라난타 존자의 출신지인 간다라 사원 양식의 대표적,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부용루(芙蓉樓)는 참배 및 서해조망용 누각으로서 1층 석벽에는 간다라양식의 불전도부조 조각이 23면에 걸쳐 부처님의 전생 인연담과 일대기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그 조각들 중 몇가지만 봅니다.
사면대불상( 四面 大佛像)은 아미타불을 주존불로 모시고 관음,세지 보살을 좌우보처(보처)로, 마라난타 존자가 부처님을 받들고 있는 모습을 다른 한면에 배치한 사면불로서, 약식 석굴사원 형식을 띤 독특한 형태의 간다라양식 사면대불(높이 23.7m)이 세워져 있습니다만, 보수공사로 인한 출입통제로 가까이에서 볼 수 없었습니다.
백제불교의 최초 도래지 그리고 간다라양식의 건축물을 볼 수 있는 곳,
전남 영광지역을 가신다면 여기 한번 둘러보기를 강추합니다.
'여행-행복한 순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양산 통도사(通度寺)를 ~ (0) | 2018.10.04 |
---|---|
고성 통일전망대를 가다. (0) | 2018.09.25 |
백두대간 생태수목원 미로원(숲속홀림길) (0) | 2018.07.18 |
속초 아바이 마을 그리고 대포항을 가다 (0) | 2018.06.21 |
바다 위의 여행 -삼척해상케이블카 (0)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