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행복한 순간들

양구 여행 - 통일관, 을지전망대, 제4땅굴

adam53 2017. 6. 16. 10:45



통일관 광장에는 1997년  경찰청 주관 제1회 전국학생 백일장에서 휴전선 아래 우리마을이라는 제목으로 해안초교생의 시부문 최우수상 수상을 기념하는 시비가 세워져 있고 한국 전쟁당시 사용하던 지휘용 장갑차, 155밀리 평사포, 전차 등 전투장비가 전시되어 있구요.


통일관 광장 왼쪽편에는, 도솔산지구와 펀치볼지구 전투의 전승을 기리고자 1999년 6월에 준공된 도솔산.펀치볼지구전투 전적비는 높이가 18m이고 탑신 중간에 위치한 3기의 청동용사상은 용감하게 승리한 해병대원과 국군, 미군 참전용사의 모습을 각각 상징하고 있죠.




통일관(033)480-2674)

통일관은 남북통일에 대비, 국민들에게 북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통일의지를 고취시키는 정신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1996년 8월에 건립되었으며, 2개의 전시실과 농특산물 판매장, 관리사무실, 주차장으로 구분되구요.

전시실에는 통일부의 지원을 받아 북한의 생활용품과 수출용품, 사진판넬 등 331종 729점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농,특산물 판매장에는 북한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임산물, 주류 등 수출상품과 양구지역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이 다양하게 전시 판매되고 있습니다.
















전쟁기념관 2000년 6월에 개관된 전쟁기념관은 해안면 후리에 건립되었으며, 도솔산전투, 펀치볼전투, 피의능선전투 등 양구지역 9개 전투사를 재조명하고 있는데요.

건물입구에 기둥같이 세워진 탑은 9개의 전투를 의미하고 벽면과 기둥에 새겨진 동그란 홈은 폭탄 및 총알자국이며, 기둥 전후에 고지의 높이와 참전부대, 전투기간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비스듬한 건물형태는 전쟁중에 폭격으로 쓰러져가는 형상을 나타내며, 진입구의 철판은 전쟁으로 인한 암흑의 시기를 상징하고 철판의 구명은 총알이 관통한 것을 의미합니다.

내부에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의 불법 남침으로 휴전선이 붕괴되는 과정을 축소. 재연하고 있으며 죽음, 기아, 파괴, 피난 등의 참혹한 상황을 그리고 있으며. 영상실에는 양구지역 9개 전투상황을 20분간에 걸쳐 상영하고 있구요. 전쟁당시 남북한의 무기를 비교하고 전쟁 유품 500여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양구지역 전투에서 3,800여명의 아군이 전사하였으며, 이 중 확인된 전사자 명단 1,100여명이 기념관 내부에 게재되어 있죠.













을지전망대 해발 1,049m의 DMZ 철책위에 1988년 12월 세워진 을지전망대는 남북한의 대치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그 옆에는 매년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점등식을 하는 을지십자탑, 문자송신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망대 내부에는 대형망원경을 이용해 북한군의 근무상황은 물론, 북한의 군사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매봉, 운봉, 간무봉, 무산 등을 관찰할 수 있으며 맑은 날에는 금강산의 비로봉, 월출봉, 차일봉, 일출봉 등을 또렷하게 볼 수 있다. 또한 북한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공산국가 최고지도자의 명칭을 고지에 붙여놓고 북한병사들로 하여금 결사항전을 유도하는 스탈린 고지가 보이며, 매봉에는 북한군 1개대대를 수용할 수 있는 막사가 있고 보급품을 운반할 수 있는 케이블카가 설치되어 있으나

'98년 이후 한번도 움직이지 않아 북한의 심각한 전력난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강산은 이 전망대와 직선거리로 38km애 위치하고 있으며, 전망대 남쪽에는 타원형분지를 이룬 펀치볼과 6,25전투 격전지였던 가칠봉, 도솔산, 대우산 등 1,000m 이상 고산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제4땅굴 1990년3월 3일, 양구 동북방 26km지점 비무장지대 안에서 발견된 제4땅굴은 군사분계선에서 불과 1,028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높이 1.7m, 폭 1.7m, 길이 2,52m이고 군사분계선으로 부터 남으로 침투한 길이는 1,028m입니다.

또한 땅굴내부에는 투명유리로 덮인 20인승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어 다른 땅굴에 비해 매우 편리하게 관람할 수 있습니다.





안보관에는 제4땅굴의 발굴 및 굴착장면과 발견당시의 수색상황 등을 상영할 수 있는 영상실이 있고,북한의 원시적 장비와 일상용품을 전시하고 있는 안보교육관이 있으며, 안보관내 농.특산물 판매장에서는 펀치볼지역에서 생산되는 무공해 농산물과 특산물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제4땅굴 입구에는 땅굴발견 당시 내부를 수색하던 중 800m 지점에서 북한군이 설치한 지뢰를 밟고 산화한 군견의 희생을 기리는 묘와 충견비가 새겨져 있습니다.